[RF/IF 및 RFID] 트랜스폰더 LRI64-A1T/1GE

Posted by 도깨비강종헌
2014. 6. 12. 09:44 전자부품사전(1)

[RF/IF 및 RFID] 트랜스폰더 LRI64-A1T/1GE

 

 

 

 Part No.

 LRI64-A1T/1GE

 제조사

 STMicroelectronics

 기능

 LRI64

 주파수

 Read / Write

 RF 유형

 13.56MHz

 추가 특성

 ISO15693, ISO18000-3

 패키지/케이스

 8-UFDFPN

 공급장치 패키지

 

 설명

 IC MEMORY TAG 13.56MHZ 8UFDFPN

 

전자부품 정보 및 검색은 '파츠너'

아시아 최대 ICT박람회 `MAE 2014` 내일 상하이 개막

Posted by 도깨비강종헌
2014. 6. 11. 15:59 전자부품정보

 

아시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인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Mobile Asia Expo·MAE)가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개막한다.

13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의 주제는 `글로벌 연결 사회 구축`(Making Global Connections)이다.

전세계 이동통신사업자 모임인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매년 상하이에서 개최하는 MAE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의 아시아판에 해당한다.

지난 2012년 처음 개최된 이후 매년 참가 업체와 방문객 수가 늘어나며 지난해는 2만여명이 전시관을 찾았다.

올해도 참가업체의 면면이 화려하다. 알카텔루슨트 상하이벨, 화웨이, 모질라, NTT 도코모, ZTE 등 세계적인 이동통신사와휴대전화 제조업체들이 대거 참여한다.

국내서는 대표 통신사인 KT와 SK텔레콤이 참가한다. 특히 KT의 황창규 회장은 행사의 하이라이트격인 기조연설을 맡아 `기가토피아 - 연결을 넘어 새로운 가치 창출`을 주제로 발표한다.

KT는 황 회장의 연설에 맞춰 GSMA 공식 전시관인 `연결도시`(Connected City)에 참가해 기가 와이파이, 기가 와이어 등 기가 인프라 기술을 선보인다.

올해 GSMA는 방문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전시관인 연결도시를 1천700㎡ 면적으로 확대했다. 첨단 이동통신 기술이 도시의 효율성 개선에 일조하는 모습을 재현한 이 공간에는 KT 외에도 BMW, 화웨이, 도이치텔레콤, 퀄콤, 핏빗 등이 참가해 최신 기술을 뽐낸다.

특히 KT는 고품질 광통신 인터넷을 기반으로 최대 1.3Gbps 속도의 와이파이를 구현하는 기가 와이파이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이용자들의 더 빠른 무선인터넷 요구에 발맞춰 개발한 기술로, KT는 기술 개발을 지속해 차세대 인터넷 서비스 기반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국내 기업으로 유일하게 단독 전시관을 운영하는 SK텔레콤은 ICT 기술이 다른 산업과 만났을 때 펼쳐질 새로운 가능성을 주제로 헬스케어, 스마트교육, 안전서비스, 실내측위기술 분야의 다양한 융복합 상품을 소개한다.

스마트빔, 스마트로봇 등 해외 수출이 이미 이뤄진 제품도 재차 전시해 아시아지역 바이어를 공략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전시공간 일부를 중소·벤처기업에 할애해 동반성장도 실천한다.

SK텔레콤과 손잡고 해외 무대에 등단하는 기업은 우수 협력사인 아라기술, 디오인터랙티브와 자체 동반성장 프로그램인 `브라보 리스타트` 참여 업체인 아이에스엘코리아, 대학생 창업 기업인 펫핏 등 4개사다.

하성민 SK텔레콤 사장은 10일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보드미팅에 참여해 올해 10월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와 함께 개최되는 한국 최초의 GSMA 행사인 `Mobile360 부산`과 관련한 협조를 당부할 예정이다.

국내 모바일 업체로는 카카오 이석우 공동대표가 기조연설자로 참가해 카카오의 플랫폼 전략을 소개한다.

MAE는 공식 홈페이지에 10여명의 기조연설자 중 KT 황창규 회장과 카카오 이석우 공동대표를 주요 연설자로 소개해 ICT 업계에서 국내업체들의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행사에선 글로벌 기업 임원이 참가해 ICT 업계의 다양한 주제를 놓고 토론하는 모바일 포럼 콘퍼런스도 열린다.

올해 200여개 업체가 참가하는 가운데 관람객 수가 작년(2만여명)보다 더 많을 전망이다.

이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ICT업계에서 중국이 급성장하고 있어 중국시장 진출을 염두에 둔 기업들이 MAE에 대거 참여하고 있다"며 "국내외 첨단 이동통신 기술을 볼 수 있는 행사"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전자부품 분류 및 속성체계 :: 사전 사양서

Posted by 도깨비강종헌
2014. 6. 10. 22:48 전자부품상식

전자부품 분류 및 속성체계 :: 사전 사양서

 

Classification system with technical properties for electricelectronic components – Dictionary specification

1 적용범위
 
다음은 이 표준의 적용 범위에 속한다.
 
a) 전자부품 분류 사전의 구성 정의
b) 전자부품 분류 사전의 기술방법 정의
c) 전자부품 분류 사전의 구성 항목에 대한 정의 및 제약사항 기술
 
2 인용 표준
 
다음은 이 표준에 인용됨으로써 이 표준의 규정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인용표준은 그 최신판을 적용한다.
 
IEC 61360-1:2009, Standard data elements types with associated classification scheme for electric
components - Part 1: Definitions - Principles and methods
IEC 61360-2:2004, Standard data element types with associated classification scheme for electric
components - Part 2: EXPRESS dictionary schema
IEC/TR 61360-3:1995, Standard data element types with associated classification scheme for electric
components Part 3: Maintenance and validation procedures
IEC 61360-4:2005, Standard data element types with associated classification scheme for electric
components - Part 4: IEC reference collection of standard data element types and component classes
IEC 60027 Letter symbols to be used in electrical technology
IEC 60148:1969 Letter symbols for semiconductor devices and integrated microcircuits
ISO 31:1992 Quantities and units-Part 0:General principles
ISO/R 843:1968 International system for the transliteration of Greek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ISO 2382 Data processing-Vocabulary
ISO 6093:1985 Information processing-Representation of numerical values in character strings for
information interchange, MOD
ISO 9735(1):1988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administration, commerce and transport(EDIFACT)
-Application level syntax rules, MOD
ISO/IEC 6429:1992 Information technology-Control functions for coded character sets, MOD
ISO/IEC 646:1991 Information technology-ISO 7-bit coded character set for information interchange,
MOD

 

ISO/IEC 10646-1:1993 Information technology-Universal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UCS)
-Part 1:Architecture and Basic Multilingual Plane, MOD
ISO/IEC 11179-3:1994 Information technology-Spec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of data elements-
Basic attributes of data elements, MOD
 
3 용어 및 약어 정의
 
3.1 전자부품(electricelectronic component)
전압 또는 전류가 적용되거나 운반되는 도체 단자를 가진 부품
 
3.2 전자부품사전(electricelectronic parts dictionary)
제품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공유된 이해를 바탕으로 형성된 전자부품 정보의 모음이며 이러한 전자부품사전은 국제 표준화 기구의 표준 사전(Standard Dictionary), 글로벌 공급망 참여자 컨소시엄 및 단체의 사전 등이 작성되어 배포됨
 
4 부품 분류 사전의 형태
 
4.1 사전의 기술 방법
 
이 표준에서는 사전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목을 다음 요소에 따라 기술한다.
 
― 목적 : 항목의 목적을 기술
― 설명 : 항목의 기술방법 규정
― 필수유무 : 이 항목의 값이 "필수"인 경우 속성은 필수항목
― 표현형식 : 항목의 표현 형식. 문자열인 경우 최대문자열 길이를 포함
― 예제 : 항목의 예를 기술
 
4.2 품종
 
품종 분류 내의 구성항목과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4.2.1 ClassCode
 
― 목적 : 해당 분류를 다른 분류와 식별
― 설명 : 처음 3문자는 영문자와 숫자 4자리로 총 7자리로 구성되며, 숫자 4자리는 순차적으로 발생되며,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은 무의미한 코드.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XXXnnnn(3자리의 영문 대문자와 그에 이어지는 4자리 숫자)
― 예제 : XEA0061
 
4.2.2 ParentCode
 
― 목적 : 해당 분류의 상위 분류를 식별
― 설명 : 계층 구조를 가지는 분류체계 내에서 상위 분류와 하위 분류의 연관 관계를 관리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XXXnnnn(3자리의 영문 대문자와 그에 이어지는 4자리 숫자)
― 예제 : XEA0062

 

4.2.3 PreferredName.EN
 
― 목적 : 해당 분류를 나타내는 최적의 영문 명칭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70자 이내의 영문 및 숫자 문자열
― 예제 : Fixed Ceramic Capacitors
 
4.2.4 Version
 
― 목적 : 각 분류의 갱신 버전을 관리(해당 분류를 구성하는 정보의 변경이 있을 경우 갱신)
― 설명 : 각 분류의 갱신이 될 때 사전 버전 관리 규칙에 따라 갱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001(001 다음 버전은 002로 순차적으로 발생)
― 예제 : 001
 
4.2.5 Revision
 
― 목적 : 각 분류의 갱신 리비전을 관리하며 해당 분류를 구성하는 정보의 변경이 있을 경우 갱신
― 설명 : 각 분류의 갱신이 될 때 사전 버전 관리 규칙에 따라 갱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01(01 다음 버전은 02로 순차적으로 발생)
― 예제 : 01
 
4.2.6 LeafY/N
 
― 목적 : 해당 품종 분류가 계층구조 상의 최하위 분류를 표시
― 설명 : 최하위 분류일 경우 Y, 하위에 다른 분류가 존재 할 경우 N으로 표시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Y or N
― 예제 : Y
 
4.2.7 PreferredName.KO
 
― 목적 : 해당 분류를 나타내는 최적의 한글 명칭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70자(1바이트의 영문 숫자 또는 2바이트의 한글) 이내의 문자열
― 예제 : 세라믹 캐패시터
 
4.2.8 Definition.KO
 
― 목적 : 해당 분류와 그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한글 정의
― 설명 : 분류의 정의를 기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스테아타이트(steatite) 또는 티탄산바륨과 같은 자기를 유전체로 사용한 캐패시터

4.2.9 SynName.EN
 
― 목적 : 해당 분류를 나타내는 최적의 명칭과 다르지만 유사 개념의 영문 명칭 (동의어)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복수의 동의어를 기술 가능( | 문자로 구분)
― 예제 : Ceramic Condenser
 
4.2.10 SynName.KO
 
― 목적 : 해당 분류를 나타내는 최적의 명칭과 다르지만 유사 개념의 한글 명칭 (동의어)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복수의 동의어를 기술 가능( | 문자로 구분)
― 예제 : 세라믹 컨덴서
 
4.2.11 ShortName.EN
 
― 목적 : 제한된 공간에서(예: 화면 표시 또는 인쇄 등) 표현을 하기 위한 최적의 영문 명칭의 약어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17자 이내의 영문 및 숫자 문자열
― 예제 : Mic
 
4.2.12 ShortName.KO
― 목적 : 제한된 공간에서(예: 화면 표시 또는 인쇄 등) 표현을 하기 위한 최적의 한글 명칭의 약어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17자(1바이트의 영문 숫자 또는 2바이트의 한글) 이내의 한글 및 숫자 문자열
― 예제 : 마이크
 
4.2.13 Definition.EN
 
― 목적 : 해당 분류의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영문 정의
― 설명 : 분류의 정의를 기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Capacitor that uses steatite or titanic balium as dieletric
 
4.2.14 Remark.KO
 
― 목적 : 해당 분류를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적인 한글 정보
― 설명 : 분류의 의미, 범위 등에 대한 설명 외에 사용방법 등에 대해 기술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IC를 BOARD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SOCKET에 적용

4.2.15 Remark.EN
 
― 목적 : 해당 분류를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적인 영문 정보
― 설명 : 분류의 의미, 범위 등에 대한 설명 외에 사용방법 등에 대해 기술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4.2.16 Notes.KO
 
― 목적 : 해당 분류를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적인 한글 정보
― 설명 : 참조 문서에서 정의를 인용하는 등 해당 분류를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 정보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4.2.17 Notes.EN
 
― 목적 : 해당 분류를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적인 영문 정보
― 설명 : 참조 문서에서 정의를 인용하는 등 해당 분류를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 정보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4.3 속성
 
4.3.1 ClassCode
 
― 목적 : 해당 분류를 다른 분류와 식별하기 위한 코드
― 설명 : 처음 3문자는 영문자와 숫자 4자리로 총 7자리로 구성되며, 숫자 4자리는 순차적으로 발생되며,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은 무의미한 코드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XXXnnnn(3자리의 영문 대문자와 그에 이어지는 4자리 숫자)
― 예제 : XEA0001
 
4.3.2 PropertyCode
 
― 목적 : 해당 속성을 다른 속성과 식별하기 위한 코드
― 설명 : 처음 3문자는 영문자와 숫자 4자리로 총 7자리로 구성되며, 숫자 4자리는 순차적으로 발생되며,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은 무의미한 코드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XXXnnnn(3자리의 영문 대문자와 그에 이어지는 4자리 숫자)
― 예제 : XPA0016
 
4.3.3 PreferredName.EN
 
― 목적 : 해당 속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영문 명칭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70자(1바이트의 영문 숫자 또는 2바이트의 한글) 이내의 문자열
― 예제 : Manufacturer Product Name

4.3.4 PreferredName.KO
 
― 목적 : 해당 속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영문 명칭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70자(1바이트의 영문 숫자 또는 2바이트의 한글) 이내의 문자열
― 예제 : 업체 품명
 
4.3.5 Definition.EN
 
― 목적 : 해당 속성과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영문 정의
― 설명 : 속성의 정의를 기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Names of products determined by parts information supplier(developer, sales manager, a
nd others)
 
4.3.6 Definition.KO
 
― 목적 : 해당 속성과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한글 정의
― 설명 : 속성의 정의를 기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부품 정보제공 측(개발자,영업 담당자 등)이 정한 제품을 나타내는 명칭
 
4.3.7 Source
 
― 목적 : 최적의 명칭, 정의, 단위 등을 기술 할 경우에 그 근원으로 되어 있는 표준 또는 표준 류의 문서를 기술하고, 속성정의 후 이해하기 쉽도록 지원
― 설명 : 참조한 표준 또는 표준 문서를 기술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80자 이내의 영문 숫자
― 예제 : IEC61360-4 AAE718-005
 
4.3.8 SynName.EN
 
― 목적 : 해당 속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명칭과 다르지만 유사 개념의 영문 명칭 (동의어)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복수의 동의어를 기술 가능( | 문자로 구분)
― 예제 : Manufacturer Code
 
4.3.9 SynName.KO
 
― 목적 : 해당 속성을 나타내는 최적의 명칭과 다르지만 유사 개념의 한글 명칭 (동의어)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복수의 동의어를 기술 가능( | 문자로 구분)
― 예제 : 부품 코드

 

4.3.10 ShortName.EN
 
― 목적 : 제한된 공간에서(예: 화면 표시 또는 인쇄 등) 표현을 하기 위한 최적인 영문 명칭의 약어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17자 이내의 영문 및 숫자 문자열
― 예제 : VCE(SAT)
 
4.3.11 ShortName.KO
 
― 목적 : 제한된 공간에서(예: 화면 표시 또는 인쇄 등) 표현을 하기 위한 최적인 한글 명칭의 약어
― 설명 : 국제 및 국가 표준 또는 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름을 우선적으로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17자 이내(1바이트의 영문 숫자 또는 2바이트의 한글)의 문자열
― 예제 : VCE(SAT)
 
4.3.12 PreferredLetterSymbol.EN
 
― 목적 : 최적의 문자 기호는, 속성을 다른 테이블(table), 식(formula), 그림(drawings) 등의 표현에서 생략해서 표현이 가능할 경우에 이용
― 설명 : 최적의 문자 기호는 국제표준(예 : ISO, IEC60027, IEC 60148, 제조표준)에서 인용되어야 하며 최적의 문자 기호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로 표시, 인쇄 할 수 있도록 문자열로 표현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영문 및 숫자(아래 첨자의 경우 앞에 “_“ 문자로 구분)
― 예제 : R_th(j-a)
 
4.3.13 Units
 
― 목적 : 양적인 속성 값에 대한 단위를 기술
― 설명 : 단위는 기본적으로 SI 단위의 기호를 사용하고, 그 외 SI 단위 이외의 것을 채용하는 것은 표준화 조직에서 인정한 단위를 사용
― 필수유무 : (양적인 값을 가지는 속성에서는) 필수
― 표현형식 : 영문 및 숫자 문자열
― 예제 : : byte, m**2, Cel
 
4.3.14 Example
 
― 목적 : 해당 속성을 사용하여 값을 입력할 경우 참조할 수 있는 정보를 기술
― 설명 : 실제 사용되는 속성 값의 예를 사용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영문 및 숫자 문자열
― 예제 : Bulk, Stick, Taping, Tray

4.3.15 DataType
 
― 목적 : 해당 속성을 사용할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유형을 기술
― 설명 : 정해진 데이터 유형을 기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지정된 데이터 유형(영문자)
― 예제 : Numeric
 
비고 데이터 유형의 종류
 
데이터 유형 의미
Numeric 데이터 값이 숫자일 경우
Character 데이터 값이 문자일 경우
Enum 데이터 값이 속성 값 목록으로 정의된 경우(Enumeration)
 
4.3.16 Level
 
― 목적 : 양적인 속성 값의 레벨을 기술
― 설명 : 레벨에 대한 기술은 다음 4개의 식별 문자를 단독 또는 조합시켜서 이용
 Min(Minimum), Nom(Nominal), Typ(Typical), Max(Maximum)
― 필수유무 : (양적인 값을 가지는 속성에서는) 필수
― 표현형식 : 지정된 영문
― 예제 : Min, MinMax, Typ, Nom
 
비고 사용가능한 레벨의 조합
 
식별자 의미 비고
Min 최소값
Nom 공칭값(정격으로 정해진 값) 그 특성값 사용 시의 공칭값을 기술할 경우에 이용
Typ 대표값(측정에 의하여 얻게 된
값, 이 경우 조건이 부여)
그 특성값 성능을 기술할 경우에 이용(측정 조건
등이 첨부되었을 경우 Nom이 아니고 Typ을 이
용)
Max 최대치
MinMax 최소 및 최대값의 범위
MinNom 최소값 및 공칭값 특별히 요건이 없는 경우에는 MinNom을 미사용
MinTyp 최소값 및 대표값
NomMax 공칭값 및 최대값 특별히 요건이 없는 경우에는 NomMax을 미사용
TypMax 대표값 및 최대값
MinNomMax 공칭값을 중심으로 하는 최소값 및 최대값 
 MinTypMax 대표값을 중심으로 하는 최소값 및 최대값

4.3.17 Remark.KO
 
― 목적 : 해당 속성을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적인 한글 정보
― 설명 : 속성의 정의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상세한 정보를 기술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양수와 음수값이 동일한 경우에 사용
 
4.3.18 Remark.EN
 
― 목적 : 해당 속성을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적인 영문 정보
― 설명 : 속성의 정의에 관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상세한 정보를 기술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Used only in cases of equal positive and negative tolerance values.
 
4.3.19 Notes.KO
 
― 목적 : 해당 속성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적인 한글 정보
― 설명 : 속성의 정의에 관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상세한 정보를 기술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4.3.20 Notes.EN
 
― 목적 : 해당 속성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부가적인 영문 정보
― 설명 : 속성의 정의에 관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상세한 정보를 기술
― 필수유무 : 선택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4.4 속성값 목록
 
4.4.1 PropertyCode
 
― 목적 : 해당 속성 값을 사용하는 속성 코드를 기술
― 설명 : 속성 사전 내에 데이터 유형이 Enum으로 규정된 속성 코드를 기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속성 사전 내에 정의된 속성 코드
― 예제 : XPA6382
 
4.4.2 ValueName
 
― 목적 : 해당 속성에서 선택 가능한 값들을 문자열로 기술
― 설명 : 국제 및 국가표준 또는 단체표준으로 이용되고 있는 약칭을 우선하여 사용(원리적으로는 식별 능력을 소유하고 있으면 좋고, 속성 값은 동일 속성 내에서 유일해야 가능)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영문자
― 예제 : Axial, Radial, SMD

 

4.4.3 Definition.KR
 
― 목적 : 해당 속성 값과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정의
― 설명 : 속성 값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100개, 500개 등과 같이 일정 개수의 단위로 별도의 개별 포장 없이 봉지, 박스에 넣는 포장 방식
 
4.4.4 Definition.EN
 
― 목적 : 해당 속성 값과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정의
― 설명 : 속성 값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무제한 문자열
― 예제 : Packaging method of not using individual package such as packaging with a certain number of units like 100pcs or 500pcs
 
4.5 품종 및 속성 연계 목록
 
4.5.1 ClassCode
 
― 목적 : 해당 속성을 사용하는 분류의 코드를 기술
― 설명 : 분류와 속성의 연관 관계를 정의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품종분류 사전에서 정의된 분류 코드
― 예제 : XEA0001
 
4.5.2 PropertyCode
 
― 목적 : 해당 분류에서 사용하는 속성 코드를 기술
― 설명 : 분류와 속성의 연관 관계를 정의
― 필수유무 : 필수
― 표현형식 : 속성 사전에서 정의된 속성 코드
― 예제 : XPA0061

 

부속서 A
(참고)
 
물리적 사전파일 구성
 
 
A.1 사전파일의 구성
 
이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자부품사전의 표준은 다음과 같은 전자파일 형태로 작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부속서 B
(참고)
 
사용 가능한 단위

 
 
B.1 단위계의 구성방법
 
SI 단위계의 구성을 부도1에 나타냈다. 한편, SI단위는 부표1, 부표2, 부표3 및 부표4에 기술되는 요
소에 의하여 구성된다.

 

부표 1 ― 기본 단위

 

 

 

KEA OT-9020-3:2009
해 설
 
이 해설서는 본체 및 부속서에 규정한 사항, 참고에 기재된 사항 및 이들과 관련된 사항을 설명하는 것으로 표준의 일부는 아니다.
 
1 개요
 
1.1 제정의 취지
 
이 표준은 전자부품사전의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사전 관리 혹은 전자부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표준 양식을 제공하는 단체표준이다.
 
1.2 제정 경위
 
국제표준인 IEC 61360-4 에 그 기초를 두고 국내 전자 4 사(삼성, 엘지, 대우, 현대)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준을 입수 및 반영하고 각 품목별로 실 생산업체가 주도하는 작업반을 운영하고 부품생산업체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국내 전자산업계에서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표준을 수립하였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Global Supply Chain)에 대응될 수 있도록 일본의 JEITA(구 EIAJ : 일본전자산업진흥회)의 ECALS 사전을 참조하여 타 국제표준에 대응 가능하도록 수립하였다.
 
2 표준 제정을 위한 검토 중에 특히 문제가 된 사항
 
이 표준은 IEC 61360-4의 표준 양식을 기반으로 국내 현황에 맞게 수정하여 개발한 것이다. 이미 국제표준으로 제정되어 활용되고 있는 표준을 기반으로 하므로 표준 제정에 특별히 문제가 된 사항은 없다.
 
3 적용 범위
 
이 표준은 KEA 전자부품사전의 구성과 기술적인 제약사항을 기술한다. 다음은 이 표준의 적용범위에 속한다.
 
a) 전자부품 분류 사전의 구성 정의
b) 전자부품 분류 사전의 기술방법 정의
c) 전자부품 분류 사전의 구성 항목에 대한 정의 및 제약사항 기술
 
4 현안문제
 
이 표준 양식을 기반으로 전자부품사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부품분류체계 및 속성체계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작 성
전자부품정보 표준화위원회
Standard Committee on Electronics Parts Information
 
제 정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Standard of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